반응형

시나리오 3

눈에 띄는 웹소설 시놉시스 작성법

1. 중요한 정보 강조: 시놉시스는 대개 한두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, 작품의 가장 중요한 정보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작품의 핵심을 짚어내어 명확하게 표현해야 합니다. 2. 분량 제한에 맞추기: 시놉시스는 대개 한두 문장에서 세 문장 이내로 작성합니다. 따라서, 제한된 분량 내에서 가능한 많은 정보를 담아내야 합니다. 3. 작품의 특징 강조: 작품의 특징이 뚜렷하다면, 시놉시스에서 반드시 강조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작품의 장르나 대표하는 주제 등을 강조하는 것이 좋습니다. 4. 긴밀한 내용 요약: 작품의 주요 내용을 요약해야 합니다. 하지만, 요약은 반드시 간결하면서도 긴밀한 내용을 담아내어야 합니다. 5. 문장 구조와 언어 사용: 시놉시스는 문장 구조와 언어 사용에 매우 민감합니다. 간결..

글쓰기 2023.04.08

소설 시나리오 작성법

1. 아이디어 도출: 먼저 작성하고자 하는 소설의 아이디어를 도출합니다. 이때, 재미있는 아이디어를 찾기 위해 다양한 자극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. 2. 인물 설정: 주인공과 조연들의 외모, 성격, 배경 등을 설정합니다. 이때, 각 인물들이 가지는 목표와 갈등 등도 함께 설정합니다. 3. 플롯 설계: 소설의 전체적인 흐름과 각 씬들의 연결고리를 설계합니다. 이때, 캐릭터들의 목표와 갈등을 활용하여 흥미로운 플롯을 만들어 냅니다. 4. 구성 및 구성 요소: 소설의 구성 요소(프롤로그, 본문, 에필로그 등)를 결정하고, 각 구성 요소들의 위치와 연결을 설계합니다. 5. 시나리오 작성: 위 과정들을 토대로 소설 시나리오를 작성합니다. 이때, 상세하게 작성하면서 씬의 분위기나 인물들의 대화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..

글쓰기 2023.04.08

영화/드라마 시나리오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정리

FADE IN: 영화가 시작될 때, 화면이 점점 밝아지면서 비춰지는 효과를 나타내는 표시입니다. FADE OUT: 영화가 종료될 때, 화면이 점점 어두워지면서 사라지는 효과를 나타내는 표시입니다. CUT TO: 장면 전환을 나타내는 표시로, 현재의 장면에서 다음 장면으로 바로 넘어가는 것을 의미합니다. DISSOLVE TO: 장면 전환을 나타내는 표시로, 현재의 장면이 서서히 사라지면서 다음 장면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. EXT.(Exterior): 실외 장면을 나타내는 표시입니다. INT.(Interior): 실내 장면을 나타내는 표시입니다. VO(Voice Over): 대사가 있으면서,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 목소리를 나타내는 표시입니다. POV(Point of View): 캐릭터의 시점으로 보여지..

글쓰기 2023.04.04
반응형